목표.
비선형 자료구조 - 이진 탐색 트리 강의 듣기
선형 vs. 비선형 자료구조 간단 정리하며 이해하기
선형 자료구조 정리 및 복습
프리코딩테스트 연습문제 1-2
수요일 라이브 세션 참여 및 복습 및 과제풀기
진행 및 완료.
[비선형 자료구조 - 이진 탐색 트리 강의 듣기]
비선형 자료구조 - 이진 탐색 트리 | TRUE | |
비선형 자료구조 - 이진 탐색 트리 문제 풀이 | TRUE |
[선형 vs. 비선형 자료구조 간단 정리하며 이해하기]
자료구조 - 자료구조란 무엇이고 선형/비선형 자료구조란?
[선형 자료구조 정리 및 복습]
못함.... 큐.. 내일 다시 보자..
[프리코딩테스트 연습문제 1-2 풀기]
[라이브 세션 참여 및 정리]
프로그래머스 비슷한 유형 풀기 1
과제 2번 풀기
package day016;
import java.util.Arrays;
public class SimulationTest3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int[][] arr = {
{0, 0, 0, 0, 0},
{0, 0, 0, 0, 0},
{0, 0, 0, 0, 0},
{0, 0, 1, 0, 0},
{0, 0, 0, 0, 0}
};
System.out.println(solution(arr));
int[][] arr1 = {
{1, 1, 1, 1, 1, 1},
{1, 1, 1, 1, 1, 1},
{1, 1, 1, 1, 1, 1},
{1, 1, 1, 1, 1, 1},
{1, 1, 1, 1, 1, 1},
{1, 1, 1, 1, 1, 1}
};
System.out.println(solution(arr1));
}
public static int solution(int[][] board) {
int answer = board.length * board.length;
// 행, 열의 시계 방향에 따른 위치 변동 배열
int[] rows = {-1, -1, 0, 1, 1, 1, 0, -1};
int[] columns = {0, 1, 1, 1, 0, -1, -1, -1};
for (int i = 0; i < board.length; i++) {
for (int j = 0; j < board[i].length; j++) {
if (board[i][j] == 1) {
answer--; // 1 하나 발견 변경
for (int k = 0; k < rows.length; k++) {
int row = i + rows[k];
int col = j + columns[k];
if (row >= 0 && row < board.length && col >= 0
&& col < board[i].length && board[row][col] == 0) {
answer--;
board[row][col] = -1;
}
}
}
}
}
return answer;
}
}
오늘 후기.
라이브 세션이 코딩테스트 문제 푸는데 정말 큰 도움이 되는거 같다.
이제 시뮬레이션 좌표계 문제 나오면 이게 머선 말이고!! 하진 않을 수 있을 거 같다.
선형자료구조는 조금씩 이해도가 높아지는데
비선형자료구조는 즈응말 친해지기 어렵다.. 또르르..
어제보다 몇개 더 알았으니 조금은 만족하고 잠들어야지
앞으로 람다식이나 스트림API, 입출력 관련해서도 Scanner 말고 다른것도 써보고 해야될텐데
불편함에 자꾸 피하게 되는 것 같음. 함수형 시러시러
주말에 한 번 싹 정리하고 함수형 프로그래밍도 자세히 알아봐야겠다
할거만 자꾸 느는디... 우짜누...
한달동안은 자바문법과 자료구조에 집중해서
다가올 프로젝트 만들 때 발목잡히지 않기 위해 더 힘써보자!
오늘도 고생했고 내일도 고생하자!
'STUDY LO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30519 STUDY LOG. (1) | 2023.05.19 |
---|---|
230518 STUDY LOG. (0) | 2023.05.18 |
230516 STUDY LOG. (0) | 2023.05.16 |
230515 STUDY LOG. (0) | 2023.05.15 |
230514 STUDY LOG. (0) | 2023.05.14 |